91results have been found.
는 대한민국 사회에 버젓이 존재하나 그 마땅한 '몫'을 누리지 못하는 주제 혹은 주체에 주목하는 세 팀으로 이루어진 크루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을 시작하며 '성평등' 담론의 저변을 넓히고자 했던 빠띠에게는 '이주여성'이라는 주제/주체를 제안한 ‘선을넘는...
섭식 장애, 익숙하지 않은 단어라 인터넷에 검색을 해봤다. 정신적 질환으로 인해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을 뜻했다. 대표적 질환은 거식증과 폭식증. 거식증은 몸매에 대한 강박으로 제대로 식사하지 못하고, 먹은 것 마저 토해내는 것을 말했다. 폭식증도 있다. ...
국어사전에 보면 대화는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한국의 대화를 신청하고 나서 어떤 분과 대화 파트너가 될지 꽤 궁금했습니다. 앞으로 1시간 20분 가량의 대화를 나눠야 하는데 처음 본 사람과 대화를 하는 것이 쉽지는 않은 성격이라...
과거의 미지는 현재의 일상우리 사회는 하루하루 순간순간 과거에는 ‘미지’였던 시간을 지나고 있다. 그럼에도 미지가 현재의 일상이라는 가까운 개념보다는 여전히 두려움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게다가 다름은 혐오의 이음동의어가 되어버린 세상에 살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Ⅴ. 모두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 ‘열린토론회’ 열린토론회란? 열린토론회(공론장)는 의제 관련 이해관계자와 이에 관심있는 시민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참여의 경험을 제공하고, 깊이있는 상호 토론을 통해 해당 의제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
Ⅲ.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안 발굴 제안 발굴 및 문제발견이란? 시민의 관점에서 작은도서관 이용 및 운영에 대한 다양한 제안을 발굴합니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시민의 기대와 생각,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확인합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상시적으로 작은도서...
6. 기관 제안 1) 기관 제안이란? 기관 제안이란 기관이 수립하고자 하는 정책에 대해 시민들의 생각을 듣고, 더 나은 정책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시민들은 찬성과 반대 혹은 기타 의견으로 정책에 대한 의사를 표현합니다. 해당 부서는 시민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여 ...
4. 시민토론 단계 1) 시민토론이란? 지역의 시민의 삶, 기관의 이해관계에게 영향을 미칠 의제, 반복적으로 불편함을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 시민과 이해관계자가 함께 토론하는 공간입니다. 플랫폼에 올라온 제안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의제를 선별하여 면밀한 사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