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results have been found.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여자였다. 오늘날 모습에는 남성이 주도하던 영역에서 여성이 발을 들이는 것 같지만, 1946년 최초의 디지털 컴퓨터 에니악이 만들어질 때 남성들의 관심은 컴퓨터 시스템을 구상하고 디자인하는 데 있었고, 실제로 작동시키는 것은 여성의 몫이었다. ...
는 대한민국 사회에 버젓이 존재하나 그 마땅한 '몫'을 누리지 못하는 주제 혹은 주체에 주목하는 세 팀으로 이루어진 크루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을 시작하며 '성평등' 담론의 저변을 넓히고자 했던 빠띠에게는 '이주여성'이라는 주제/주체를 제안한 ‘선을넘는...
섭식 장애, 익숙하지 않은 단어라 인터넷에 검색을 해봤다. 정신적 질환으로 인해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을 뜻했다. 대표적 질환은 거식증과 폭식증. 거식증은 몸매에 대한 강박으로 제대로 식사하지 못하고, 먹은 것 마저 토해내는 것을 말했다. 폭식증도 있다. ...
몸을 도구화﹒대상화하는 사회에서, 바디(Body)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통해 억눌린 몸의 목소리와 가능성을 증폭시키고 있는 ‘변화의월담’! ‘그럼에도 우리는’ 2기 프로젝트로 일상에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놀이-돌봄 콘텐츠를 시도하고 있는 이 팀을 만났다. ...
2. 프로젝트 커뮤니티 대상 특정 주제, 이슈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활동을 하는 다양한 팀들이 모여 프로젝트 커뮤니티(워킹그룹)를 구성합니다. 무엇을 할 수 있나요? 주제에 대해 이해와 관심이 높은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팀 간을...
커뮤니티 행동강령(Code of conduct)이란? 커뮤니티 행동강령은 참여자의 행동에 대한 기본 규칙입니다. 커뮤니티에서 바람직한 행동은 무엇이고, 받아들여질 수 없는 행동은 무엇인지를 분명히하여, 안전하고 협력적인 커뮤니티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 #...
개요 많은 곳에서 기자회견을 할 수 있지만, 국회 기자회견장을 빌려서 할 경우 언론의 주목도가 높습니다. 특히 정부 부처에 항의하거나 요청할 때에 효과적입니다. 본 내용은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버터나이프크루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공동 주관한 2022년 9...
3. 시민제안 단계 1) 시민제안이란? 시민들은 자신이 일상에서 느낀 불편함이나 발견한 문제를 시민 제안으로 제시합니다. 다른 시민들의 제안을 살펴보고 공감을 하거나, 다른 시민들의 제안에 의견을 남김으로써 토론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진행 과정 제안 발굴 시...
빠띠가 제3회 우수 사회적경제기업어워드에서 우수 사회적경제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센터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제3회 우수 사회적경제기업 어워드’ 및 ‘제1회 사회적경제기업 우먼 스타(Women Star) 발굴 ...
성평등 활동의 지속을 위해 페미니스트의 실패가 아닌 성공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사회적협동조합 빠띠’(이하 빠띠)와 ‘액션크루 그럼에도 우리는’(이하 그럼에도 우리는)은 14일 “2023 그럼에도 우리는 성평등 페스타 우리는 멈추지 않아”(이하 성평...
지난해 7월 "페미니즘에 경도됐다"는 여당 원내대표의 지적 이후, 여성가족부가 지원을 중단했던 버터나이프크루(성평등문화추진단)가 정부 지원 없이 이어온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여가부가 4기 버터나이프크루로 지정했던 17개 팀 중 13개 팀이 '그럼...
‘사회적협동조합 빠띠’(이하 빠띠)와 ‘액션크루 그럼에도 우리는’(이하 그럼에도 우리는)은 14일 “2023 그럼에도 우리는 성평등 페스타 우리는 멈추지 않아”(이하 성평등 페스타)를 개최했다. 성평등 페스타에서는 △활동 스피치 △토크 콘서트 △워크숍 등이 진행...